*인텔이 2020년까지만 레거시 바이오스 호환성을 유지하고 그 이후는 UEFI 클래스 3만 지원*

UEFI Class 3을 간단히 말하자면 - UEFI 인터페이스 만 실행 가능함.

 

 

 

 

rufus를 이용해 UEFI, LEGACY(BIOS) 모두 사용 가능한 PE 만들기

 

새로운 제품에서 LEGACY(BIOS)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를 대비해서 듀얼 모드로 사용 가능한 PE 드라이브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준비해야 할 건 rufus 최신 버전과 USB 드라이브, 사용할 PE ISO 파일입니다.

 

rufus를 실행하시고 USB 드라이브를 꼽고 PE ISO 파일을 선택합니다.

 

여기서 alt+E 키를 눌러 듀얼 UEFI/BIOS 모드 가능으로 변경해 줍니다.

 

모드를 변경하면 파티션 방식대상 시스템자동으로 변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여기서 파일시스템 NTFS 인지 확인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UEFI 모드로 부팅할 경우 시큐어 부팅 옵션은 끄고 사용하셔야 합니다.

 

 

 

 

출처 : www.uefi.org 

Welcome to 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Forum | 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Forum

No front page content has been created yet.

uefi.org

출처 : rufus.ie

 

Rufus - The Official Website (Download, New Releases)

 

rufus.ie

 

Windows To Go, 윈투고 만들기

윈도우 투 고(Windows To Go,WTG)는 윈도우 전체 시스템이 USB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외부 USB 드라이브에서 실행할 수 있는 윈도우 8부터 시작된 기능 중 하나입니다.

 

2011년 9월 윈도우 8 빌드 7850에서 '윈도우 투 고'를 공식적으로 발표 했습니다.

 

Windows to Go 제작하기 전 고려해야 할 사항

1. USB에서 부팅 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최소 1GHz 프로세서

3. 최소 2GB의 RAM

4. Windows RT를 실행하는 컴퓨터에서 Windows to Go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5. Mac에서 Windows To Go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Windows RT (개발명: 윈도우 온 ARM/Windows on ARM)는 태블릿과 같은 ARM 기기들을 위한 윈도우 8 운영 체제 버전이다. 장치 제조업자에게만 직접 판매하는 제품으로 일반 소비자에게는 판매하지 않는다. -위키 피디아-

 

rufus 프로그램을 이용한 윈투고(Windows To Go) 만들기

1.32GB USB 메모리 (120GB 이상의 USB 3.0를 지원하는 USB 메모리 또는 외장형 SSD 권장),

2.rufus 프로그램

3.윈도우 8 버전 이상의 이미지 파일(iso)

 

USB OS, 이동식 운영체제, 나만의 운영체제, 나만의 OS...이제 만들어 보겠습니다.

 

1rufus를 다운 받습니다.

 

rufus-3.10.exe
1.08MB

rufus.ie

 

Rufus - The Official Website (Download, New Releases)

 

rufus.ie

2. 준비한 USB 메모리를 삽입합니다.

 

3. rufus을 실행 합니다.

 

4. 준비한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선택합니다.

5. 준비한 윈도우 이미지 파일을 선택합니다.

6. 이미지 옵션 'Windows To Go'를 선택합니다.

7. 기타 포맷 옵션을 선택합니다. 

8. 모든 준비가 완료되면 '시작'을 눌러줍니다.

 

9. 윈투고 제작할 Windows 버전을 선택합니다.

10. USB 플래시 드라이브 포맷이 진행되고 파일 복사 작업이 진행됩니다.

 

작업이 끝났고 USB로 부팅하여 설치작업을 마무리하면 윈투고 작업은 마무리됩니다.

 

USB로 부팅하는 방법은 

노트북이나 메인보드 제조사마다 진입키가 다릅니다.

 

https://shine72.tistory.com/2

 

PC, 랩탑 제조사별 부트(Boot)메뉴 진입키

PC, 랩탑 제조사별 부트(Boot)메뉴 진입키

shine72.tistory.com

해당되는 제조사 진입키를 이용해 USB로 부팅하시면 나만의 OS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투고로 만든 USB OS의 용도는 다양할 수 있겠죠.

 

긴급 복구용 OS, 백업용 OS 등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Windows 10 설치 USB 드라이브  만들기

이전 포스팅

https://shine72.tistory.com/22?category=751800

 

Windows 10(윈도우 10) ISO 다운로드

정식 최신 버전의 Windows 10을 다운 받을수 있습니다. 다운로드는 아래 링크을 클릭하면 됩니다. https://www.microsoft.com/ko-kr/software-download/windows10 Windows 10 다운로드 Windows 10용 ISO 파일을 다..

shine72.tistory.com

MS 정식 ISO 파일을 다운 받았다면 이제 설치 드라이브를 만들어 봅시다.

 

준비해야할 프로그램은 Rufus입니다.

아래 링크을 클릭해서 다운 받을수 있습니다.

https://rufus.ie/

 

Rufus

 

rufus.ie

아래 화면과 같이 Rufus 최신버전을 다운 받습니다.

 

1. 8GB 이상의 USB를 USB 포트에 삽입한다.

2. 선택 버튼을 눌러 다운받은 ISO파일을 선택한다.

3. 파티션 방식을 선택한다. 이전 포스팅을 참조한다.

https://shine72.tistory.com/4?category=751800

 

부트모드(Boot Mode) - 레거시(Legacy) BIOS, CSM, UEFI

Legacy BIOS 모드는 MBR 디스크 파티션을 지원한다. MBR 마스터 부트 레코드, master boot record MBR 디스크 파티션은 최대 하드 용량 2TB와 파티션 갯수 4개까지 지원한다 BIOS 모드는 MBR 디스크 파티션으로 제..

shine72.tistory.com

4. 현재 자신의 모드를 모른다면 검색창에 시스템 정보라고 검색하고 해당 앱을 실행한다.

5. 자신의 모드를 확인한다. '레거시'라고 쓰여있다면 Legacy BIOS 모드이다.

6. 대상 시스템은 파티션 방식을 선택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그에 맞는 대상 시스템이 선택이 될 것이다.

7. USB 드라이버의 볼륨 레이블을 작성할 수 있다, 예) Windows10_19H2_UEFI

8. 시작 버튼을 누르면 설치 USB가 만들어진다.

+ Recent posts